::www.eumyoun.com::
 
 
April.2025
 
 
 
 
 
Home > Piano > 커버스토리 | 2003년8 월호
커버스토리 연도별 검색 :::      

지난 세기는 피아노의 전성시대라고 할 만큼 뛰어난 피아니스트들이 많았다. 그 중에서 20세기의 초반부터 종반을 관통하여 압도적인 기량과 출중한 음악성으로 환영받았던 인물을 꼽는다면 누구일까. 우리는 단번의 다음의 이름을 떠올릴 것이다. 아르투르 루빈스타인과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그들은 때로 라이벌처럼 부각되었고, 함께 무대에서 연주를 한 적은 없지만 이들 연주는 애호가들의 취향을 자극하여 열광적인 반응을 받았다.


호로비츠의 탄생이 올해로 100주년이 된다. 우크라이나의 키예프에서 태어난 그는 원래 본명이 고로비츠(Gorowitz, 1925년 베를린 데뷔 때부터 지금의 호로비츠라는 이름을 사용한다)였으며, 부유하고 지적인 부모 아래서 서적과 음악을 접할 수 있었다.
폴란드에서 태어나 6세에 이미 첫 연주회를 가진 루빈스타인에 비한다면 출발은 늦었지만, 호로비츠는 같은 나이에 당대의 교육자 펠릭스 블루멘펠트의 아래에서 정식 음악교육을 받는다. 처음에는 작곡에 뜻을 두고 있었지만 얼마 되지 않아 찾아온 볼세비키 혁명으로 인해 집안이 완전 몰락하게 되자, 궁여지책으로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피아노 연주 활동을 하게 된 것이 피아니스트로 데뷔하게 된 계기가 된다.

블루멘펠트가 피아노는 더 가르칠 것이 없다고 말했을 만큼 탁월했기에 호로비츠의 연주는 즉각적인 반응을 얻어, 1924년부터 25년의 경우 여러 가지 여건이 좋지 못한 당시로서는 놀랍게도 약 80회의 연주회를 갖는다. 그리고 1925년에 서방 음악계에 화려한 신고식을 갖는데, 이때 베를린과 더불어 이듬해 함부르크와 런던 연주 여행은 그의 이름을 국제적으로 알리는 계기가 됐다.


일생동안 네 번의 침묵 기간 가져
1927년 호로비츠는 흥행사 아서 짓슨의 권유로 미국 음악계에 데뷔하게 된다. 이때 데뷔 첫 연주는 평단과 청중들에게 굉장한 선풍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것은 당시 루빈스타인의 연주가 청중들의 열띤 반응과는 달리 냉담한 평가를 받았던 것과는 대조되는 점이다. 또 1932년에는 그의 생애 중 가장 중요한 조유라 할 수 있는 토스카니니와의 만남이 이루어진다. 이것이 훗날 토스카니니의 딸 완다와의 결혼으로 귀결될 줄은 호로비츠 자신도 짐작하지 못했을 것이다.
1936년부터 39년은 그가 첫 공백 기간을 가진 시기이다. 언제나 그침 없이 많은 연주 활동을 펼쳤던 그가 심한 피로감과 고통을 호소하며 일생동안 네 번에 걸쳐, 짧게는 1년에서 길게는 무려 12년 동안 침묵 기간을 갖게 되는 것이다. 우리에게 가장 잘 알려진 것은 1952년 3월 25일부터 있었던 만 12년간의 공백기인데, 1965년 그 카네기 홀 복귀 연주회 때는 대다수의 신문에서 ‘연예 지면을 가득 채우던 헐리웃 배우가 뒷 페이지로 밀려난’ 초유의 뉴스로 기록된다.

이 복귀 연주회 외에 기억에 남는 것으로 1978년에 있었던 호로비츠 미국 데뷔 50주년 기념 연주회를 들 수 있다. 이날 연주회에는 당시 금액으로 168,000달러의 수익을 올렸다니, 굳이 화폐가치를 언급하지 않더라도 최근 내한 연주회를 가지는 초일류의 피아니스트의 개런티가 그 반 정도 밖에 지나지 않음을 상기해 볼 때 경탄할 일이 아닐 수 없다.

그후 호로비치는 1986년 그와 으막 평생을 함께 했던 레이즐인 RCA(BMG) · 소니 클래시컬(CBS)과 결별하고 새로이 도이치 그라모폰과 전속계약을 맺는다. 이 소식을 접한 애호가들로서는 놀라움을 금치 못했지만 그는 도 다른 일면을 보여주듯, 이제까지와는 차별된 음악에 대한 자세와 사상이 담긴, 그만의 시로 가득한 세계를 펼쳐 놓는다. 특히 1986년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던 모스크바 귀환 연주회(Horowitz in Moscow)는 음반과 영상물을 통해 보아도 단순히 음악 이외에 당시의 감격적인 분위기로 가득 차 있어 지금도 감동에 젖게 한다.

1989년 10월 25일 호로비츠는 하이든의 피아노 소나타 E장조와 쇼팽 · 리스트의 편곡 작품을 녹음하게 된다. 마치 곧 다가올 죽음의 전조를 알고 있었다는 듯이 그가 장기로 다루었던 리스트의 작품에서 생전 들어 볼 수 없었던 농축성과 성숙함으로 충만한 연주를 한다. 그리고 11월 5일, 막바지 녹음 편집 작업을
2003.8.
목차보기
copyright(c) 2002 EUMYOUN all rigths reserved